책소개
한반도에서 문명이 성립한 이래 현재까지 인간의 경제생활이 전개되어 온 역사를 서술한 이영훈 서울대 교수의 『한국경제사』 Ⅰ, Ⅱ권 중 Ⅰ권이다. 저자는 한국경제사를 제1시대(기원전 3세기∼기원후 7세기), 제2시대(8∼14세기), 제3시대(15∼19세기), 제4시대(20∼21세기)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시대를 구분하는 지표는 인간의 가족적, 사회적, 국가적 존재형태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어떤 무리에 속한 가운데 반지하 움집에서 살았던 인간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 극히 개성적인 한국인으로까지 진화해 왔는가라는 문제이다.Ⅰ권에서는 제1~3시대, 즉 기원전 3세기부터 19세기까지를 다루고 있고, Ⅱ권에서는 제4시대, 즉 20~21세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고대→중세→근대라는 도식적 틀에서 벗어나 사실의 충실한 인과로서 한국사의 전 흐름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한국경제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 소개
저자 이영훈(李榮薰)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85). 지곡서당芝谷書堂에서 한문을 공부하였다(1977∼1982).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거쳐 2002년 이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제사학회, 한국고문서학회, 한국제도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朝鮮後期社會經濟史』(한길사, 1988),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대한민국역사』(기파랑, 2013) 등이 있다. 청람상靑藍賞(한국경제학회, 1990), 경암학술상耕岩學術賞(경암교육문화재단, 2013), Coghlan Prize(Australian Economic History Review, 2015) 등을 수상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경제사의 방법
1. 연구사의 회고
2. 무엇을 쓸 것인가
3. 새로운 시대구분
제2장 문명의 아침
1. 선사시대의 한반도
2. 연烟의 성립
3. 족장사회
4. 국가의 출현
제3장 공연孔烟에서 정호丁戶로
1. 7세기 말의 농촌
2. 정丁의 성립
3. 통일신라의 사회
제4장 국인國人과 전호佃戶
1. 집권적 지배체제의 전개
2. 농민과 사회
3. 원 복속기의 사회와 경제
제5장 유교적 전환
1. 조선왕조의 창업
2. 국전제의 재편
3. 지배체제의 이원화
4. 양반과 노비
5. 경제체제와 사회
제6장 소농사회
1. 시장경제의 대두
2. 소농경제의 전개
3. 소농사회의 양상
4. 국가적 재분배경제
제7장 위기
1. 19세기의 정체
2. 제국주의의 도래
3. 1880년대의 혼돈
4. 대외무역의 전개와 전통경제의 재편
5. 황혼의 대한제국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속에서
부뚜막을 구비한 주거지에 관한 한국인의 기록은 5세기 이후에야 나타난다. 414년 고구려의 장수왕長壽王이 세운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에는 왕릉을 지키기 위한 수묘호守墓戶를 각지에서 차출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그에 따르면 장수왕은 고구려의 옛 영토에서 110가家와 새로운 정복지에서 220가를 수묘호로 차출한 다음, 그들을 국연國烟 30과 간연看烟 300으로 편성하였다. 중국의 한자에서 가家 또는 호戶는 개별 세대를 가리키는 보통명사이다. 광개토왕비는 그 가나 호가 고구려의 지배체제에 편입되어서는 연烟이라는 고유명사로 규정되었음을 전하고 있다. 다시 말해 5세기 초 고구려에서 가의 제도적 표현은 연이었다. 연은 반지하 움집의 부뚜막에서 밥 짓는 연기가 지붕 위로 솟은 연도를 통해 피어오르는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연 규정은 그러한 이미지에서 고안되었다고 여겨진다. 국연은 간연을 감시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맡았다. 대개 국연 하나에 간연 열이 하나의 대오를 편성하여 30개 대오가 순번으로 수묘의 역을 담당했다고 추정되고 있다. 551년 신라는 고구려로부터 단양의 적성赤城을 빼앗은 다음, 주민 가운데 신라의 적성 공략에 협력한 사람들을 포상하였다. 그 포상의 내용을 새긴 것이 1978년에 발견된 단양적성비丹陽赤城碑이다. 동 비문은 신라의 점령지 지배정책에 관해 몇 가지 정보를 전하고 있다. 그 가운데 적성연赤城烟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적성의 백성이라는 뜻이다. 이로부터 신라 역시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그의 백성을 연으로 규정했음을 알 수 있다. 백제가 그의 백성을 연으로 규정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어쨌든 5세기 이후 고구려와 신라는 백성을 연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기초 단위로 한 지배체제를 구축하였다. 역사시대의 상징으로서 국가가 솟아오르고 있음을 알리는 그 같은 변화의 저변에는 소규모 가족이 공동취사의 집단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취사의 세대로 자립하게 된 역사적 진보가 가로놓였다.
- 제Ⅰ권 제2장 문명의 아침 중에서
정호는 국가에 대한 조부의 납부에서만 아니라 생산, 결혼, 상속, 촌락 등 일상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기초 단위를 이루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려인들은 정호를 가리켜 가家라고 칭하였다. 가는 소규모 가족이 아니라 그것이 다수 결합한 친족집단으로서 세대복합체를 가리켰다. 원 복속기의 일이다. 1293년 원으로부터 흘절사팔吃折思八이란 번사蕃師가 고려에 파견되었다. 원래 고려인으로서 1271년 진도가 함락될 때 원에 끌려간 사람인데 승려가 되어 번사로 출세하였다. 32년 만에 고려에 돌아와 서림현西林縣에서 부모를 찾았는데, 부모가 가난하여 능히 자존하지 못하고 남의 집의 용작傭作이 되어 있었다. 이에 왕이 그 족속을 교동현喬桐縣으로 옮기고 토지를 지급하여 가를 이루게 하였다. 1351년 공민왕恭愍王은 중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보허普虛에게 경기도 광주에 있는 왕실의 전장을 하사하였다. 이에 보허가 흩어졌던 친척들을 모아 가를 이루었다.
이 두 예에서 보듯이 고려의 가는 일반적으로 친족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고려의 가족이나 친족의 구성 원리는 중국과 달랐다. 그로 인해 중국과 갈등이 빚어진 적이 있다. 고려가 원에 복속할 때 위의 흘절사팔처럼 끝까지 항전하다가 원으로 잡혀간 사람들이 많았다. 그 가운데는 원에 일찍 투항한 사람들의 가속家?이 있었다. 고려는 그러한 사람들을 송환해 주기를 원에 거듭 요청하였다. 이에 원은 일찍 투항한 사람들의 부모와 처와 자녀를 송환하였다. 그러자 고려왕조는 할아버지와 손자, 시아버지, 삼촌과 조카, 형제와 자매도 모두 고려에서는 가속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사람들마저 돌려주기를 청하였다. 이 사건은 중국의 가가 일반적으로 소가족임과 달리 고려의 가는 직계·방계만이 아니라 처족까지 포함하는 친족공동체였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 제Ⅰ권 제4장 국인國人과 전호佃戶 중에서
반품/교환
상품 설명에 반품/ 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방법 |
홈 > 고객센터 > 자주찾는질문 “반품/교환/환불” 안내 참고 또는 1:1상담게시판 |
반품/교환 가능 기간 |
반품, 교환은 배송완료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발견 후 30일 이내에 신청가능 |
반품/교환 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의 경우에만 반송료 고객부담(별도 지정 택배사 없음) |
반품/교환 불가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GIFT주문제작 상품)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해외주문 상품(도서 및 음반)의 경우 (파본/훼손/오발송 상품을 제외)
- 중고 상품 등 재고의 추가 확보가 어려운 경우 (교환은 어려우나 반품은 가능)
- 그밖에 월간지, 화보집, 사진집, 그림도감, 시집류, 중고학습서, 카세트테입, 만화, 입시자료, 악보, 지도, 여성실용 서적 등(파본/훼손/오발송 상품을 제외)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 분쟁해결기준 (공정거래위원회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