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18년부터 남북정상회담이 세 차례나 열리고, 올해는 북미정상이 비무장지대에서 만나는 등 한반도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그렇게 한반도의 냉전종식과 통일을 향한 화해와 평화의 무드가 조성되는 듯했다. 하지만 호사다마(好事多魔)도 빠지지 않았다. 남북의 화해를 견제하듯 일본이 경제전쟁을 도발했고, 북한은 한미군사훈련을 빌미로 미사일을 날리며 연일 으름장을 놓고 있다. 그럼에도 한편에서는 북한에 관한 다큐와 보도가 증가하는 등 북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도 사실이다. (2018. 9.7-11. 11), 전(2018. 9. 14-2019. 1. 31), (2019. 3. 11-5.10), 전(2019. 4. 6-6.30) 같은 북한미술을 다룬 전시회도 눈에 띄게 늘었다. 『북한미술과 분단미술』은 이런 현실에서 남북 분단이 빚은, 남북한 작가들의 미술작품을 통해 남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작가 소개
한국 미술가들의 정체성과 분단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2003년 「김정일주의 미술론과 북한미술의 변화」로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에 당선된 이후 꾸준히 북한미술 관련 논문을 발표해 왔다.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큐레이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초빙교수, 홍익대학교 융합연구센터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모더니티와 전통론?혼돈의 시대, 미술을 통한 정체성 읽기』 등이 있다.
목차
005 머리말
1부
북한을 만든 미술
1. 우상화, 그리고 조각하다
021 영웅, 가장 크고 높고 진하게
정관철, 「보천보의 횃불」
026 태양이 된 부자, 권위를 벗다
김성민, 「태양상」/리성일, 「태양상」
032 김정숙, 선군의 어머니로 거듭나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를 목숨으로 보위하시는 김정숙 동지」
037 몰골법으로 재탄생한 ‘수령영생미술’
리동건, 「언제나 인민을 위한 길에 함께 계시며」
044 북한 기념비 미술의 시원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1-건립 논쟁
048 율동적으로 형상화한 혁명의 세찬 전진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2-조형적 특징
052 빼어난 경치 속의 웅장한 기념비
「삼지연 대기념비」
057 왜 기념탑 증축인가
「무산지구전투승리기념탑」
062 끝나지 않은 전쟁을 추모하다
「조국해방전쟁참전열사묘」
2. 선군정치의 전사를 그리다
066 “사실주의 기법, 왜 서구에서 찾아!”
김용준, 「춤」
071 리얼리즘의 역작을 그린 노동자 화가
박문협, 「전후 40일 만에 첫 쇠물을 뽑아내는 강철전사들」
078 남강 여인, 억센 손에 장총을 부여잡고
김의관, 「남강마을의 녀성들」
083 조선화로 구현한 입체적 사실감
김성민, 「지난날의 용해공들」
088 휘몰아치는 눈보라 속의 전선
정종여,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
093 비판적 현실주의에서 혁명적 낭만성으로
정현웅, 「누구 키가 더 큰가」
098 계급착취가 투영된 농민들의 생활상
민병제, 「딸」
103 거친 눈보라를 뚫고 올라선 남자
우연일, 「난관을 뚫고」
107 총 대신 하모니카 부는 북한군
조철혁, 「전사들」
3. 자연의 서정성을 ‘응찰’하다
112 풀, 나무, 꽃에 스민 조선의 기백
리석호, 「국화」
118 선군시대 상징이 된 민족의 영산
만수대창작사, 「백두산 3대 장군과 216봉우리」
123 북한미술이 낳은 서정적 표현의 대가
정창모, 「북만의 봄」
129 갈대꽃 흔들림에 분단의 상처를 담다
김승희, 「분계선의 달」
135 치밀한 묘사와 대담한 생략의 묘
선우영, 「박연폭포」
140 강렬한 색채로 옮긴 삼천리 금수강산
한상익, 「국화」
145 김일성을 그린 신여성
정온녀, 「아버지, 오늘의 생산 성과는?」
150 실을 튕겨 개나리를 피우다
로정희, 「개나리와 진달래」
156 “북한 풍경화, 조국 자연의 숭고함을 그려야”
최근슬, 「가을풍경」
160 조선적인 사회주의 미술
문학수, 「풍경」
4. 다양한 장르로 시대 감성을 표현하다
165 조선호랑이 기상을 한 올 한 올 꿰다
리원인, 「호랑이」
170 불변의 재료를 화폭에 담다
신봉화, 「비둘기 춤」
175 고려청자, 다시 현실로
우치선, 「쌍학장식청자꽃병」
179 고려청자에 시대감각을 불어넣다
임사준, 「화병」
183 ‘쪽무이 그림’을 아시나요?
만수대창작사, 모자이크 벽화
187 피 끓는 모성의 절절함을 빚다
조규봉, 「남녘땅의 어머니」
191 우표에 나타난 북한의 사회와 문화
루벤스 탄생 400돌 기념우표
2부
분단이 만든 미술
1. 우리 안의 분단 트라우마
199 꽃에 싸인 전사
이용백, 「엔젤 솔저」
203 P, 북한 계정 리트윗하다가 법정에 서다
옥인 콜렉티브, 「서울 데카당스」
208 ‘군인’, 우리들의 자화상
오형근, 「군인」
212 영화 같은 현실인가, 현실 같은 영화인가
정연두, 「태극기 휘날리며」 -
216 낡은 벙커의 역설적 아름다움
최원준, 「빛의 분수」
221 혼자 추는 왈츠는 왈츠인가?
전준호, 「형제의 상」
226 같은 뿌리, 다른 노래
임민욱, 「소나무야 소나무야」
231 전쟁의 땅에서 전쟁의 삶을 찍다
이부록, 「인간 불법 파병 인증샷」
2. DMZ와 전쟁의 망각
236 철조망의 시간은 찰나다!
김아타, 「온 에어 프로젝트」
240 300개의 비석, 워터마크를 찾아라
임민욱, 「비 300―워터마크를 찾아서」
245 분단시대, 기록과 망각 사이에서
노순택, 「Red House-1 펼쳐들다; 질서의 이면」
249 학이 운다, 아름답고 처연하다
조습, 「일식」 시리즈
253 금지된 땅, 가상현실로 걷다
권하윤, 「Year 489」
257 첨예한 대립 속에 ‘약속’의 시간을 되짚다
김진주, 「약속한 시간의 흐름(동송)」
262 잘린 허리로 혼자 일어설 수 없다
김봉준, 「누운 소」
267 분단체제와 평화체제를 이어주는 램프
이부록, 「평화램프」
272 상처의 한가운데에서 미래를 묻다
강요배, 「한라산 자락 백성」
3. 북한 밖에서 북한을 보다
277 탈북화가, 경계선 위에서 북한을 묻다
선무, 「김정일」
282 경계를 넘어온 여성들, 상처로 그린 산수화
임흥순, 「려행」
287 변월룡,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말하다
변월룡, 「‘해방’을 그리기 위한 습작」
293 사라지는 것들을 붙잡기 위하여
김학수, 「평양 남산현 교회」
298 진실은 생활 주변에 있다!
박고석, 「쌍계사 길」
304 아프리카에서 북한의 기념비 미술 흔적 찾기
최원준, 프로젝트 「만수대 마스터 클래스」
309 남미 가이아나, 북한 매스게임에 매료되다
고원석·권성연, 「군중과 개인: 가이아나 매스게임 아카이브」
315 전쟁에 휘말린, 3개의 이름을 가진 남자
티모데우스 앙가완 쿠스노, 「알려지지 않은 나머지 이야기」
320 생략된 죽음 속에서 애도의 의미를 다시 묻다
안정윤, 「세상에서 제일 쓸데없는 짓을 합니다, 제가」
325 북한산을 오르며, 낯선 삶의 독백을 담다
임흥순, 「북한산」
4. 북한 작가들에게 손을 내밀다
330 누구를 위한 피자? 모두를 위한 삐쟈!
김황, 「모두를 위한 삐쟈」
335 한 올 한 올 꿰고 이으며 만나다
함경아, 「추상적 움직임/모리스 루이스 ‘무제’ 1960」
340 ‘빛나는 도시’는 한반도에 세워졌는가?
서현석·안창모, 「Utopias in Two」
345 남북의 피아노, 분단을 넘어선 하모니
전소정, 「먼저 온 미래」
350 함께 만든 성당, 함께하는 참회와 속죄
‘참회와 속죄의 성당’의 모자이크 벽화
354 백두대간이 품은 바위에서 분단을 보다
로저 세퍼드, 「돌강」
359 대결과 폭력, 상처의 나이테를 어루만지다
임민욱, 「절반의 가능성」
책 속에서
이 작품에서처럼 영웅을 영웅답게 묘사해야만 하는 것이 북한미술계 작가들에게 부여된 기본적인 의무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조형 형식이 시도된다. 부각시켜야 할 중요한 사람을 가장 크게, 가장 높게, 가장 진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가장 중앙에 배치하기도 한다. 「보천보의 횃불」에서는 주된 인물을 가장 높게 배치하면서 오른손까지 들었으니, 당연히 관람자의 시선은 김일성에게 먼저 가 꽂히게 된다.(21쪽)
북한에서 혁명적 기념비라는 것은 수령의 기념비를 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미술계에서 기념비 미술이 성공하는 데 핵심 요인은...
이 작품에서처럼 영웅을 영웅답게 묘사해야만 하는 것이 북한미술계 작가들에게 부여된 기본적인 의무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조형 형식이 시도된다. 부각시켜야 할 중요한 사람을 가장 크게, 가장 높게, 가장 진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가장 중앙에 배치하기도 한다. 「보천보의 횃불」에서는 주된 인물을 가장 높게 배치하면서 오른손까지 들었으니, 당연히 관람자의 시선은 김일성에게 먼저 가 꽂히게 된다.(21쪽)
북한에서 혁명적 기념비라는 것은 수령의 기념비를 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미술계에서 기념비 미술이 성공하는 데 핵심 요인은 ‘수령의 혁명업적을 얼마나 폭넓고 깊이 있게 조형예술화하였는가’에 달려 있다. 그런 맥락에서 이 기념비 미술이 주목되는 것은, 1971년 제작된 「무산지구전투승리기념탑」을 재건축하면서 탑이 표상하고자 하는 바가 김일성의 혁명업적이 아닌 백두산 장군들의 혁명업적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이다.(60쪽)
김일성 시대 북한미술계는 특정 전통을 정통화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미술사적 문제점이 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통을 계승하고 현대화하는 실험을 시도하였고, 나름의 결과물을 도출해냈다. 그렇다면 그들이 이러한 실험으로 선택한 전통과, 이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결과물인 「남강마을의 녀성들」이 이데올로기를 초월하여 현대의 우리에게도 예술적 감동을 줄 수 있을까? 판단은 감상자의 몫이다.(82쪽)
북한의 미술가들이 풍경을 그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조국 산천의 숭고한 아름다움을 드러내기 위해서다. 물론 조국애 로 이어진다. “이 땅의 숭고함을 그릴 것”이라는 테제는 말은 쉬워 보이나, 화폭 앞에 서면 매번 먹먹해지기 쉬운 주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 더욱 최근슬의 작품을 주목하게 된다.(157쪽)
우리와는 달리 전통을 그대로 보전하고 전수하는 것보다 전통을 현대화하는 것에 더 가치를 두는 북한의 문화정책 속에서는 매우 특이한 현상이었지만 당시에 고려청자를 복원하려는 정책적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환갑이 지난 나이에 만수대창작사에 들어간 우치선은 이후 북한의 현대 도자를 이끌었다. 북한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우치선의 위치는 2003년 사망한 그의 형상이 만수대창작사에 전시된 것만으로도 충분히 웅변된다.(178쪽)
작가(이용백)은 이 작품의 제목을 ‘엔젤 솔저’라고 붙였다. 화려한 꽃으로 위장한 군인들을 ‘엔젤’과 ‘솔저’의 관계로 명명한 것이다. 꽃으로 위장한 군인은 결국 엔젤로 위장한 솔저였던 것이다. 폭력은 어떠한 경우에도 천사가 될 수 없다는, 평화의 가치를 다시 환기시켜 준다.(202쪽)
오형근의 「군인」 연작에 등장하는 군인들은 전쟁의 상처가 어떠한지 잘 알고 있는 사람들처럼 보인다. ‘군인’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연상 되는 ‘총’, ‘적군’ 등의 이미지가 아니다. 그의 작품에는 군인들의 내면에 억압된 공포감과 불안정함, 연약함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불어 태연함과 무관심이 함께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211쪽)
정연두의 사진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낙동강 전투를 떠올리게 하지만 실은 그 장면이 아니다. 그의 작품은, 옆의 사진 속 세트장을 찍은 사진들의 조합인 듯하지만, 실은 그 세트장을 찍은 사진은 아니다. 작가는 연출사진을 통해, 미디어라는 매체를 통해 그럴듯하게 보이는 현실과 실제 사이의 간극에 대해서도 묻고 있는 것이다.(215쪽)
북한은 자신들이 드러내고 싶어 하는 방식으로만 자신을 드러내고, 그 이미지만 밖으로 소통하고 있다. 작가는 “북한은 자신이 보여 주고 싶은 것만을 보여 주려 애썼고, 나는 그들이 보여 주지 않는 것마저 보고 싶어 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사진은 질서의 표면을, 그것도 매우 협소하게 보여 주기 때문 에 이면을 읽어내는 건 보는 자의 몫이라고 말한다. 동시에 우리에게 묻는다. 사진 속 북한 모습을 통해서 북한을 이해할 수 있느냐고? (노순택, 245쪽)
이부록의 「평화램프」는 개성공단의 초상화에 다름 아니다. 2004년 12월 15일 개성공단에서 처음으로 만든 제품인 ‘개성냄비’가 서울의 백화점에 진열되자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고 신문들이 대대적으로 보도했던 기억이 새롭다. 미술가 이부록은 이 개성냄비를 실크스크린으 로 작업해서 개성공단의 역사를 드러냈다. 그리고 이 작품의 제목을 ‘평화램프’라고 명명했다. (269-270쪽)
(탈북화가인) 선무는 후에, 그때까지도 남한을 잘 몰랐다고, ‘자유’가 무엇인지 잘 몰랐다고 담담히 이야기했다. 김일성과 김정일을 자신의 작업실에서 처음으로 그리던 날, 간첩이라도 나타나 자신을 어떻게 할 것이라는 자기 검열에 짓눌려 제대로 그릴 수 없었다고 토로한다. 이 말은 그가 살아 왔던 삶의 실상을 단적으로 증언한다. 그러나 부산비엔날레에 이 작품은 걸리지 못했다. 이 역시 그가 살고 있는 삶의 현실을 증언한다.(281쪽)
반품/교환
상품 설명에 반품/ 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방법 |
홈 > 고객센터 > 자주찾는질문 “반품/교환/환불” 안내 참고 또는 1:1상담게시판 |
반품/교환 가능 기간 |
반품, 교환은 배송완료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발견 후 30일 이내에 신청가능 |
반품/교환 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의 경우에만 반송료 고객부담(별도 지정 택배사 없음) |
반품/교환 불가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GIFT주문제작 상품)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해외주문 상품(도서 및 음반)의 경우 (파본/훼손/오발송 상품을 제외)
- 중고 상품 등 재고의 추가 확보가 어려운 경우 (교환은 어려우나 반품은 가능)
- 그밖에 월간지, 화보집, 사진집, 그림도감, 시집류, 중고학습서, 카세트테입, 만화, 입시자료, 악보, 지도, 여성실용 서적 등(파본/훼손/오발송 상품을 제외)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 분쟁해결기준 (공정거래위원회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